안녕하세요!
하는남자 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자격증 정보입니다.
많은분들이 준비하는 자격증중에는
공기업을 비롯한 여러 시험에서
자격이나 가산점을 주는
중요한 자격증시험이죠.
바로
정보처리기사 입니다!
먼저 정보처리기사란 무엇인지부터
살펴볼까요?
정보처리기사란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춘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처리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자를 말합니다.
우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컴퓨터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제도를 제정했죠.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베트남 3개국과
MOU를 체결함으로써 정보처리기사는
일본의 소프트웨어개발기술자,
중국의 소프트웨어설계기사,
베트남의 소프트웨어설계기사와
상호인정되는 자격종목이 되었습니다.
정보처리기사는 정보시스템의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는
자격으로서 계획수립,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구요.
구체적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한후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시스템 설계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응시자격은?!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 경력자별로 각각의 응시자격을
나눠놓고 있습니다.
보통은 관련학과4년제 대학을 나온
응시자들이 가장 많겠고
3년제, 2년제 등은 졸업과 함께
경력이 필요한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밖에 이런 졸업자가 아니라도
순수실무경력 4년도 시험응시의
자격이 됩니다.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1회부터 4회까지 응시가 가능하며
가장 최근 정기기사 4회시험이
치뤄졌네요
시험과목과 검정방법은?!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며
2020년 이전과 이후 달라진
필기시험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택일형으로
과목당20문항, 과목당30분
응시하고 있습니다.
실기시험은 필답형으로
2시간 30분 시간제한 입니다.
필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 과목 평균60점이상
맞아야 합격이고
실기 시험은 100점 만점으로
역시 60점 이상 맞아야 합니다.
필기시험에 합격한자에 대해서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해주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이
가장 중요하게 관심갖고 있는
최근의 역대 합격률을 살펴봅니다.
먼저 2014년입니다.
필기시험
응시인원 : 51,446명
합격 : 24,132명
합격률 : 46.9%
실기시험
응시인원 : 31,175명
합격 : 12,916명
합격률 : 41.4%를
나타태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2019년 정보처리기사시험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합격률입니다.
2014년 합격률에 이어서
2015년부터 2019년의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의 합격률입니다.
실기시험 합격률이 가장 높은때는
2016년, 가장낮은건 2017년입니다.
이상으로 많은분들이 공기업준비나
시험의 가산점으로 준비하고 있는
정보처리기사 시험의 역대 합격률과
자격제한, 과목, 검정방법 등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시간에는 정보처리기사 시험의
합격후기정보를 모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